우리 가족 중엔,
관리가 필요하고
조심해야 할 지병 있는 체질이 있다.
그래서 항상
가방, 지갑 속,
또는 목걸이형으로
병원카드와 함께
응급의료정보카드를 넣고 다닌다.
살아 있을 때
미리 준비하는 웰다잉!
죽음을 생각하기보다,
지금 내가 얼마나
잘 살아갈 수 있느냐를 생각하면서...
"가족 연락처를 다시 정리하고,
지킬 수 있는 것부터 실천해보는 거야"
언젠가 맞이할 그날, 준비는~
"갑자기 쓰러지거나 위급상황 발생 시,
누가 나 대신 말해주고 도와줄까?!"
사람은 누구나
예고 없이 찾아오는 순간을
맞이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순간이 ‘혼자’ 일 때,
혹은 ‘말할 수 없을 때’
우리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을까...
웰다잉은
거창한 철학이 아닌,
일상에서의 실천이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위급할 때의 연락처 정리~
요즘은
얼굴 인식으로 잠금도 풀어야 되는데!
그래서
잠금화면에
'긴급연락처'를 등록해두어야 한다.
"웰다잉은 나이에 상관없이,
준비된 사람만이 잘 살아갈 수 있다"
비상시, 가장 먼저 할 일은~
"가장 중요한 건, 빠른 연락이다?!"
갑작스러운 사고,
각종 재난 상황,
촉박한 응급상황이 생겼을 때,
가장 중요한 건 빠른 연락이다.
특히
의식이 없거나
소통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스마트폰의 긴급전화 기능을 통해
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니,
미리 꼭 설정해 두는 습관이 필요하다.
"연락처 하나로 지킬 수 있는 생명,
지금 바로 준비해두자~"
112 vs 119의 차이~
"112야? 119야?
다급하면 헷갈릴 수 있다?!"
급할수록
112와 119의 용도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
둘의 차이를
정확히 알고 있으면,
더 빠른 판단과 대처가 가능하다.
★ 112
범죄, 도난, 실종 등 범죄 관련 신고
쉽게 말해, 경찰!
도둑맞았거나 위협당했을 때~
★ 119
화재, 응급환자, 구조 요청 등 생명 관련 위급 상황
쉽게 말해, 소방!
응급환자, 화재, 구조할 때~
"아~ 그러니까 응급으로 아플 땐 119,
무서운 사람이 따라오면 112"
가족에게 빠르게 연락하는 방법~
"스마트폰 잠금화면,
그냥 두면 곤란해?!"
위급 시, 누구든지
내 폰에서 바로 누를 수 있는 번호~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스마트폰에
가족 이름을 ‘엄마’ ‘아빠’도 아닌,
애칭으로만 저장해 놓는다.
그래서
응급 구조요원이나
타인이 연락하려 할 때,
특히 해외여행 중 일 때,
외국인이 먼저 발견할 때 등
비상전화 기능이 없으면
연락하는 게 무척 어렵다.
이제부터는
휴대폰 잠금화면에
긴급연락처와 기본 병력정보,
알레르기 여부 등을 미리 입력해 두자~
"잠금화면으로도 생명을 지킬 수 있어~"
복용약? 지병? 이것도 정보~
"병력, 약 복용 정보,
어디에 보관해야 할까?!"
의외로 중요한 것은
질병 이력이나 복용 중인 약 정보다.
아직 젊어서 약을 안 먹는다 해도
알레르기 정보라도 적어두는 게 좋다.
지갑에 간단한 의료메모를 넣어두거나,
스마트폰 건강앱에 적어두거나,
운동기록도 남기지만,
이젠 '생존 정보'도 저장한다는 거~
특히
혈압약, 당뇨약,
심장질환 관련 약 등
매일 복용 중인 분들은,
응급 상황 시
‘금기약’ 여부가 생명을 좌우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면,
시의적절한 처치를 하지 못하고
사망에 이르게 되기 때문이다.
★ 추천 방법
- 지갑 속, 응급의료정보 카드
- 휴대폰 메모장 앱 또는 건강 앱에 기록
- 목걸이형 명찰, 카드지갑 속 활용
★ 응급의료정보카드에는
- 성명, 성별, 생년월일, 긴급연락처, 주요 병력, 특이사항 등 표기
- 질병, 혈액형, 주요병원, 복용약, 보호자 연락처 입력
꼭 필요한 정보를 미리 준비해 놓으면
약 처방, 수혈을 신속하게 진행해서
생존 확률을 높여줄 수 있다.
카드 제작방법은
포토카드 제작업체를 검색하거나,
집에서 신용카드 크기로 만들어
여러 군데 소지만 해도 안심이 된다.
"지금 바로 제작, 만들기!"
연락처 정리, 일상 속 웰다잉~
"우리가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
혹시 모를 순간을 준비하는 것은
불안한 예감이 아닌,
따뜻한 관심의 표현이다.
‘나의 마지막 순간’을
떠올리는 것이 두렵다면,
그 순간
나를 대신해 줄 번호 하나,
메모 하나를 지금 적어보자~
그 한 걸음이,
더 단단한 내일을 만들어줄 것이다.
지금,
- 잠금화면에 연락처 등록하고
- 지병·복용약 등 정보 입력하고
- 가족 외에도 친구나 지인 추가하고
- 기능도 확인해 보자
(전원버튼 5회 연속 클릭 등)
"지금 설정 완료!
이 작은 준비가, 나중엔 큰 힘이 될 거야"
스마트폰 연락처 설정방법~
"누구나 쉽게 따라하도록 정리~?!"
스마트폰에 미리 입력해 두면
잠금화면에서도 확인되고,
전화할 수 있는 상황이 된다.
안드로이드(Android)
기종별 약간씩 다르지만 대부분 비슷~
<삼성 갤럭시 기준>
★ 설정 > 안전 및 긴급
★ 의료정보
건강상태, 혈액형, 알레르기, 복용 중인 약, 참고사항 등 입력
★ 긴급 연락처
위급 상황 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으로 등록
★ 긴급 SOS
- 도움을 받으려면, 측면 전원버튼을 빠르게 연속 5회 누르기
5회 누른 후, '밀어서 전화 걸기'하면 작동!
- 전화 연결할 긴급 연락처
변경 가능! 어디로 전화를 걸지 선택 가능
112, 119 외 직접입력까지 7개
- 긴급 연락처로 SOS 보내기
위치와 SOS 메시지 전송
★ 긴급상황공유
상황공유를 시작하면, 연락처로 메시지가 전송
위치를 쉽게 확인하고 연락을 할 수 있도록, 잠금화면에 연락처를 표시할 수도 있다.
★ 재난문자
- 긴급 재난문자
- 안전 안내문자
- 수신된 재난문자 확인
- 경보 메시지를 음성으로 알림
★ 지진 알림
- 근처에서 발생한 진도 4.5 이상의 지진에 대한 정보
<간단한 정보만 넣으려면>
전화 앱 > 하단, 연락처 탭 > 상단, 내 프로필 클릭 >
하단, 긴급정보 > 의료정보 or 긴급 연락처에서 입력가능
잠금화면에 표시 체크 > 설정 완료!
<잠금화면에서 확인하기>
잠금화면에서 ‘긴급 통화' > '의료 정보’로 바로 확인 가능
<작은 꿀팁>
- 긴급연락처는 이모티콘, 별명 없이 실명으로 저장하자
→ 구조자가 바로 연락이 가능하도록!
- ‘ICE’ 키워드를 포함해서 저장하자
→ 예: ICE Mom, ICE 누나, ICE Friend
-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자
→ 전화번호 변경, 복용약이 바뀌면 꼭 수정!
아이폰(iPhone)
건강 앱에서 설정 가능~
★ ‘건강’ 앱 실행
(기본 앱, 아이콘에 하트 모양)
★ 하단, ‘요약’ > 프로필 사진 클릭
★ ‘의료 정보’ 탭 선택 후 ‘편집’ 클릭
★ 아래로 스크롤, 응급 연락처 추가
질병 이력, 알레르기, 복용 약물 등도 함께 입력 가능
★ 잠금화면에서 보기 항목 활성화
★ 오른쪽 상단 ‘완료’ 클릭
★ 설정 완료!
"긴박한 상황, 이젠 준비 끝~"
오늘의 Well-dying 한마디!
우리는 언젠가
'그날'을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한다.
그건
두려움이 아니라
나를 사랑하는 또 다른 방식이다.
내가 없어도,
누군가는 나를 이해할 수 있도록...
그렇게 우리는 조용히,
웰다잉에 다가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급한 순간은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
그 순간을 대비하는 건
오늘 당장 할 수 있어서 참 다행이다...
"나를 위해... 설정 들어가기 시작!"
< 함께 보면 좋은 글 >
후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FAQ~ 자주 묻는 질문은?
Q. 스마트폰에서 긴급전화는 어떻게 걸 수 있을까?
A. 잠금화면에서 ‘긴급전화’ 버튼을 이용하고, 일부 기종은 전원 버튼 3~5회 연속 클릭 시 자동 연결된다.
Q. 가족 외에 누구를 저장하면 좋을까?
A. 최소 2명 이상, 가족 + 친구 또는 직장 동료 등을 다양하게 설정해 두는 것이 안전하다.
Q. 어르신, 부모님 스마트폰에도 설정해드려야 할까?
A. 반드시 해드려야 하고, 가족 모두의 스마트폰에 설정하면 도움이 된다.
Q. 잠금화면에 정보는 어떻게 넣을까?
A. 대부분의 스마트폰, 설정 > 잠금화면 > 긴급정보에서 가능하다.
Q. 급할 때는 112와 119가 헷갈리는데 어떻게 구분할까?
A. 112는 경찰, 119는 응급 및 화재!
Q. 아이폰도 가능할까?
A. 건강 앱에서 '의료 정보' 설정을 통해, 잠금화면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Q. 어떻게 설정하면 좋을까?
A. 연락처를 설정해 두거나, 건강 앱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Q. 지병이 없는 경우에도 의료정보가 필요할까?
A. 알레르기, 복용약 없음, 건강 상태 ‘정상’ 등의 정보도 응급 상황에서는 매우 유용한 정보이다.
Q. 지갑에 넣어둘 의료정보카드는 어떤 약을 적어놓으면 될까?
A. 현재 복용 중인 약, 금기약, 알레르기약, 심장 관련 약은 응급 처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웰다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할 수 없는 미래의 팬데믹, 코로나19 변이시대!” 웰다잉은 생존을 위한 대비전략~ (21) | 2025.07.16 |
---|---|
"나의 웰다잉, 방문후기!" 울면서 작성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13) | 2025.07.14 |
"준비된 삶!" 연명의료결정제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15) | 2025.06.16 |
"덜어내기 연습, 미니멀리즘!" 잘 살아가기 위한 웰다잉~ (10) | 2025.06.08 |
“인생 유언장!” 지금을 더 사랑하는, 아름답고 솔직한 편지~ (4) | 2025.06.07 |